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발표


1990년부터 2003년까지 14년간 국내 문화산업 성장률이 전체산업 성장률보다 액 1.5배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원장 고석만)은 ‘문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발표에서 1990년부터 2003년까지 14년간 우리나라 전체산업 산출액이 417조원에서 1,740.9조원으로 4배가 늘어나는 사이 문화산업 산출액은 19.7조원에서 118.8조원으로 6배 이상의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날 진흥원이 발표한 ‘문화산업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현황과 시장규모, 산업특성 및 연관구조 등 체계적 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진흥원은 이번 연구결과에서 우리나라 문화산업 산출액 증가세 외에도 전체 산업대비 문화산업의 산출액 비중도 4.7%에서 6.8%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방송, 광고 등 문화서비스업 비중은 2.5%에서 5.2%로 2배 이상의 비약적 성장을 이룬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일반 제조업이 197.2조원에서 746.5조원으로 약 3.8배 산출액 증가를 보인 것에 비해 전체산업대비 산출액 비중이 47.3%에서 42.9%로 오히려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의 경제적 비중은 점차 감소되고 있으며 문화산업의 비중은 점차 증가되고 있다는 것이다.

진흥원은 또한, 1990년부터 2003년까지 문화산업 부가가치액도 8.5조원에서 59.8조원으로 7배 이상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전체 산업대비 문화산업의 부가가치액 비중 역시 4.8%에서 7.8%로 상승세를 타고 있다. 반면, 동 기간 우리나라 전체산업은 178.3조원에서 767조원으로 4배정도만 증가했다.

보고서는 문화산업 관련 취업자 수와 전체 산업대비 취업자 수 비중도 함께 분석해 결과를 발표했다. 1990년 1548만명, 2003년 1733만명의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각 77.4만명과 124.8만명이 문화산업 취업자로 조사돼 그 사이 전체 산업대비 문화산업 취업자 수의 비중이 5.0%에서 7.2%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일반제조업의 경우 취업자 수와 전체 취업자 수에 대한 비중은 1990년 349만명(22.6%)에서 2003년 267만명(15.4%)으로 감소됐다.

한편, 보고서는 일본 현황에 비춰 향후 우리나라 문화산업을 진단하기도 했는데, 일본의 경우 문화산업 산출액이 2000년 88조엔이고 전체 산업대비 문화산업 산출액 비중이 9.2%로 한국보다는 높지만, 전반적인 문화산업의 증감추세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우리나라 문화산업 비중과 역할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고석만 원장은 “이번 연구결과에서 시사하듯이 문화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히 크다”며, “이런 문화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절하고 체계적인 지원과 기업차원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료 출처  CT뉴스

문의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정책개발팀 이병민 팀장(전화 2016-4040, yurifin@kocca.kr), 변미영 대리(전화 2016-4044, alliya@kocca.kr)


2007/12/04 - [문화] - 문화의 세기에 문화예산 1%도 편성하지 않은 참여정부
2007/12/02 - [방송통신] - 일산 방송영상의 디딤돌 mbc드림센터 준공
2007/12/12 - [인터넷] - 뉴미디어산업 업계 현황

Posted by 황의홍
,